세계적인 현대 종교학자 J. 고든 멜튼과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 개신교 워치만 니 분파의 서로 다른 단체 간 차이점을 알아본다.
마시모 인트로빈(MASSIMO INTROVIGNE)
J. 고든 멜튼은 현재 텍사스 웨이코 베일러 대학교(Baylor University) 종교연구소의 미국 종교사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의 종교 다원주의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으로 신흥 종교 학계의 창시자와 같은 인물이다. 지난 몇 년 사이에, 중국 종교는 그의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했다. 그는 40년 넘게 중국의 워치만 니(1903-1972), 위트니스 리(1905-1997) 단체를 연구했다. 이 단체는 중국 및 다른 나라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비터 윈터는 멜튼 교수에게 각 단체에 대한 명확한 구별을 요청했다.
일단 우리는 이 교회 단체를 워치만 니 교파로 명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이 교파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이들은 1920년대 중국에서 시작된 국제 복음주의 기독교 종파로, 분파 간 대립 관계에 반발하여 어느 도시에나 진정한 교회는 오로지 하나만 있다는 믿음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해당 종파는 워치만 니의 사역으로부터 뻗어 나왔습니다. 그는 플리머스 형제회(Plymouth Brethren)로부터 크게 영향받았던 중국인 기독교 신자였죠. 1930년대, 워치만 니는 여러 권의 책을 집필해 자신의 신앙을 소개했고 중국 전역에 교회를 세웠습니다. 그는 복음주의 기독교 관점을 채택했으나 신약의 가르침에 따라 교회의 통일성을 위해 각 도시에 단 하나의 교회만 세워질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공산주의 정권 수립 이후, 공산당은 워치만 니의 활동을 승인하지 않았고 그를 심문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는 상하이에서 추방됐고 이후 1952년, 무기 징역형을 선고받고 여생을 보냈습니다.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 사이의 연결고리는 무엇인가요?
1948년, 워치만 니는 교회 장로 위트니스 리를 선교 지도자로 앞세워 대만으로 보냈습니다. 위트니스 리의 지도 아래, 교회는 번영했고 주변국으로 확장해 그 영향력이 미국에까지 이르러 교회를 세우기까지 했습니다. 미국에서 먼저 미국계 중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이후 미국 현지인들까지 전도했습니다. 1962년, 위트니스 리는 캘리포니아로 이주해 리빙 스트림 미니스트리 (Living Stream Ministry)이라는 기구를 세우며 집필 및 사역 활동을 펼쳤고 이를 통해 자주적으로 뭉친 회중에 지침을 제공했습니다. 해당 종파는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저술에 기반한 가르침을 전파하며 이들의 글은 리빙 스트림 미니스트리를 통해 출간되고 있습니다.
이 단체는 1970, 80년대에 다소 논란이 됐습니다.
1970년대에 일반적으로 지방 교회(즉, 미국 위트니스 리의 단체)라 불리는 곳과 더 큰 규모의 복음주의 기독교 커뮤니티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았습니다. 복음주의 지도자들은 지방 교회가 ‘양을 훔치고’, 삼위일체를 이단적으로 해석하며, 다양한 ‘컬트’ 활동에 가담했다고 비난했죠. 1985년에는 캘리포니아 버클리에 근거한 ‘영적 사이비 연구소’(Spiritual Counterfeits Project‐SCP)의 출간 서적으로 인해 명예훼손 소송이 벌어졌고 지방 교회에 유리한 판결로 마무리되어 수백만 달러의 배상금이 부과되기도 했습니다. 이 소송으로 해당 운동을 향한 복음주의의 공개 비판이 그쳤고 지방 교회도 이후 별다른 논란 없이 조용히 서구 사회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제 이러한 교회들의 정확한 명칭과 워치만 니 분파가 여러 다양한 집단으로 나뉘면서 어떻게 상황이 복잡해졌는지 듣고 싶은데요…
저는 지난 30년간 워치만 니의 분파 명칭에 흥미를 가지고 접근했는데요. 특히 지난 3년 동안 집중적으로 연구했습니다. 막상 워치만 니는 그들의 교회에 이름 붙이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니의 이러한 관점은 형제회와 영국 복음주의자 테오도르 오스틴 스팍스(1888-1971)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그는 자신의 카리스마적 권위로 더 크게 발전하고 연대된 교회를 단합시켰습니다. 워치만 니와 형제회와의 결별이 오스틴 스팍스와의 관계로 비롯된 것도 주목할 만합니다. 형제회는 오스틴 스팍스가 관장하는 HOF(Honor Oak Fellowship)에서 성찬식을 했다는 이유로 그와 관계를 끊었습니다.
니의 운동은 작은 무리(찬송가에서 따온 이름), 크리스천 집회소, 교회 집회소 등 다양하게 불리었죠. 지방 교회라는 이름은 워치만 니가 각 도시에 진정한 교회는 오로지 하나라는 교리를 도입하면서 부상했습니다.
위트니스 리는 ‘자오후이’(召會, Assembly-어셈블리)라는 단어를 ‘교회’보다 선호했고 그의 단체는 본래 중국과 해외에서 ‘어셈블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 교회가 워치만 니 교파의 적법한 후계자 단체라고 주장하면서 위트니스 리는 ‘지방 교회’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추후 특히 미국에서 20세기 후반 이 이름을 더욱 자주 사용했습니다. 또한 주의 회복(Lord’s Recovery)으로도 알려졌는데, 이들은 단체 내에서 더 큰 기독교 운동이 지난 수 세기 동안 잃어버린 것을 회복한다는 발상에 기반해 독특한 관행을 제안했기 때문입니다.
1980년대까지 워치만 니 교파의 세 분파가 중국에서 부상했습니다. 그중 첫 추종자 단체는 정부 통제의 삼자 애국회와 맥을 같이했습니다. 이들은 삼자가 나름의 방식으로 워치만 니가 우려했던 교파 주의 분열을 해결한다고 보았습니다. 얼핏 보면 삼자 교회가 모든 종류의 기독교인을 하나로 뭉치기는 했으니까요. 두 번째 분파는 삼자 교회 및 공산당으로부터의 독립을 유지했습니다. 예를 들어, 작은 무리 그리고 데이비드 바렛(David Barrett, 1927-2011)이 자신의 저서 세계 기독교 백과사전(World Christian Encyclopedia)에서 사용했던 이름인 집회소 등이 있습니다. 세 번째 분파는 위트니스 리의 카리스마적 권위를 받아들이며 그를 워치만 니의 적법한 후계자로 인정하고 그의 새로운 가르침 및 관행을 전용했습니다.
중국에서 워치만 니의 추종자 일부는 위트니스 리의 가르침을 수용했고, 일부는 거부했습니다. 워치만 니는 수용하지만 위트니스 리는 거부하는 이들은 “구 지방 교회(Laodifangjiaohui, 老地方教會),” 위트니스 리 수용 단체는 “신 지방 교회(Difangjiaohui, 地方教會)”로 구분됐습니다.
제가 처음 위트니스 리 교회를 알게 됐을 때, 이들은 미국에서 워치만 니 운동의 연장으로써 운영됐고 주로 지방 교회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워치만 니의 저서는 복음주의자 무리에 의해 회람되고 있었는데 이들은 워치만 니의 회중은 아니었으나 플리머스 형제회 등의 케즈윅에 근거한 다양한 분파들에서 그의 책을 사용하고 있었죠. 오스틴 스팍스 직계의 미국 회중들도 여럿 있었습니다(21세기에 들어서며 모두 사라짐).
중국에서는 이들 세 분파가 문화대혁명 말기에 부상했습니다. 워치만 니의 운동은 중국 혁명기에 개신교 ‘분파’ 중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했고 많은 이들이 워치만 니가 복역하고 사망한 이후에도 여전히 신의를 지켰습니다. 이런 와중에 중국 밖에서는 위트니스 리의 교회가 여타 정부(특히 대만 및 미국)와 협상하며 이들의 법 아래 생존할 방안을 찾아 나가야 했죠. 대만은 계엄령 상태였고 미국은 비영리 법인으로 운영되는 종교 집단을 선호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저와 같은 사람들이 미국 지도부에 이들을 어떻게 명명해야 할지 물었죠. 당시 우리는 이들에 대한 공격을 침례교 반(反) 컬트 활동가 월터 마틴(1928-1989)가 시작한 “컬트”로 취급하려고 했습니다.
‘주의 회복’이라는 개념에 대해 더 설명해주시겠습니까?
이는 위트니스 리의 분파에서 사용된 이름입니다. 위트니스 리의 문제는 워치만 니의 후계자라는 주장을 유지하면서 그의 새로운 교리를 소개할 방법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주의 회복이라는 개념을 끌어들였고 성서 상의 교회의 삶이 후기 사도 시대, 특히 콘스탄티누스 시대에 상실됐다는 역사관을 구축했습니다. 위트니스 리에게 있어 성서적인 교회의 삶은 마틴 루터와 함께 회복되기 시작했고 이러한 회복은 요한 웨슬리부터 형제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회 지도자에 의해 지속됐습니다. 워치만 니는 회복에서 중요한 단계를 대표하며 위트니스 리 역시 워치만 니가 행한 일의 연장선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워치만 니의 지방 교회 교리를 이어갔으며 ‘지방 교회’를 명칭으로 채택해 계속 다양한 사람들이 단체 이름을 물어왔던 미국에서의 상황을 타개하려 했습니다. 이는 다소 혼란을 낳았는데, ‘지방 교회’라는 명칭을 위트니스 리가 워치만 니의 후계자라는 주장을 거부한 분파와 수용한 분파 모두가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위트니스 리의 단체는 앞으로도 서구 사회에서는 ‘지방 교회’ 중국에서는 ‘자오후이(召會)’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입니다. 중국에서는 ‘지방 교회’라는 이름이 주로 위트니스 리를 수용하지 않는 워치만 니의 분파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위트니스 리의 운동 또는 그 일부가 “호함파 (呼喊派)”로도 알려져 있는데요.이로 인해 더 문제가 복잡해지지 않나요?
그렇습니다. 문화 대혁명 기간 기독교 운동이 은밀한 형태로 이어졌고 지역 회중에 대해 교회의 권위가 크지 않은 것도 중국의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모든 것은 전적으로 다양한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권위에 달려 있었습니다. 지방 교회의 경우, 워치만 니가 죽고 나서 위트니스 리는 중국에 돌아갈 수 없었습니다.
1980년대 초반, 재조성된 삼자 운동의 권위 구축 시도로 두 가지 사건이 터졌고 당국은 위트니스 리 분파에 호함파라는 꼬리표를 붙였습니다. ‘주의 이름을 크게 외치는’ 관행에서 비롯된 서술적인 명칭이었죠. 위트니스 리의 분파가 일반적으로 교회는 창시인 이름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호함파가 이들의 이름으로 굳어진 배경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명칭은 가정 교회 운동에서 다양한 단체를 지칭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중국 정부와 갈등을 빚었던 단체에 이 이름이 붙었죠.
호함파는 1983년 사교(이단 교리)로 공표, 금지됐습니다. 이는 1995년 공식 사교 목록이 등장하기 훨씬 이전이었죠. 흥미롭게도 호함파와는 달리 지방 교회는여전히 사교로 금지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곧 위트니스 리를 인정하지 않는 워치만 니의 단체는 사교로 분류되지 않으나 미등록 기독교 회중의 일부로써 정부가 매우 우려하고 있는 비공식 기독교에는 해당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위트니스 리 단체의 상황은 다소 불투명합니다. 우리가 독립적인 회중 단체를 매우 다르게 취급하고 있듯이, 아마 중국 당국의 사교 목록에 오르는 것도 곧 특정 위트니스 리의 단체만 의미하며 이들 전체를 뜻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현재 중국에서 사교로 지정된 단체들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미래를 예측하기란 더욱 힘든 상황입니다.